남성갱년기
` 남성갱년기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(Testosterone)의 감소에 의해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기간을 의미한다.
` 여성갱년기의 경우 50세 전후에 난소에서 갑작스런 여성호르몬의 생산 중단으로 인해 안면홍조, 열감 등의 증상이 드라마틱하게 나타나므로 잘 알려져 있으나, 남성갱년기의 경우 30대 후반부터 남성호르몬이 서서히 감소해 증상이 나타나므로 여성갱년기에 비해 덜 중요하게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다.
` 남성호르몬은 30대 전후부터 해마다 약 1%씩 감소하여 50~70대 남성의 약 30~50%에서 정상치보다 감소해 있다.
1) 원인
` 노화 - 뇌와 고환기능의 저하 - 남성호르몬의 분비 감소
` 잘못된 생활습관 – 음주, 흡연, 비만 – 남성호르몬 감소를 촉진
` 만성전신질환 – 고혈압, 당뇨, 호흡기질환, 갑상선질환, 간장질환, 신장질환
` 기타 성선에 영향을 미치는 독소 (항암제, 방사선치료), 약물 (spironolactone, cimetidine, ketoconazole, 스테로이드, 마약, 항안드로젠 제재), 스트레스, 고환손상 등
2) 증상
` 우리나라 40대 이상 남성 중 약 30%가 남성갱년기 증상을 나타낸다.
` 성적인 증상 : 성욕감퇴, 발기부전, 성관계 횟수 감소, 사정액랑 감소
` 전신적 증상 : 근육량 및 근력 저하, 복부비만, 체모감소, 무기력증, 우울증, 만성피로감, 불면증, 자신감 상실, 관절통, 근육통, 피부노화, 안면홍조, 심계항진, 발한, 골다공증 등
3) 진단
` 혈청 테스토스테론 3.5ng/ml 미만
` 혈청 테스토스테론은 98%가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(SHBG)과 결합하며, 2%만이 자유 테스토스테론의 형태로 존재하여 생물학적 활성형으로 작용한다. 하루 중 아침에 최고치를 이루며, 정상 성인에서 혈청 테스토스테론의 전체량은 큰 차이가 없으나, 자유 테스토스테론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. 따라서 노년층에서는 자유 테스토스테론치의 측정이 더 적합하며, 동시에 SHBG을 측정하면 진단에 더 도움이 된다.
` 남성호르몬의 투여로 이미 존재하는 전립선암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, 남성호르몬 보충요법 전에 반드시 혈중전립선특이항원 (PSA)과 전립선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전립선암의 가능성을 배제한다.
4) 치료
` 여성갱년기의 경우 증상이 뚜렷하여 적극적인 치료로 완화되는 경우가 많지만, 남성갱년기의 경우 이해도가 낮고 표현을 잘 하지 않아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.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남성갱년기를 단순한 노화현상이 아닌 질병으로 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.
` 생활습관 교정 – 흡연과 과음은 삼가고, 규칙적인 운동과 성생활 영위